우분투 아파치(Apache) 로그 관리하기 – cronolog
아파치로 웹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접속자 로그가 쌓이기 마련입니다. 이 로그는 기본적으로 무한정 늘어나기 때문에 로그 파일이 커지면 새로운 로그를 입력하기 위해 그만큼 로그 파일의 인덱싱이 필요하기 때문에 웹서버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그리고 기본값으로 가상 호스트 이름의 로그 파일이 생성되어 로그 파일의 관리적 측면에서도 좋지
아파치 웹서버 관련 팁
아파치로 웹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접속자 로그가 쌓이기 마련입니다. 이 로그는 기본적으로 무한정 늘어나기 때문에 로그 파일이 커지면 새로운 로그를 입력하기 위해 그만큼 로그 파일의 인덱싱이 필요하기 때문에 웹서버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그리고 기본값으로 가상 호스트 이름의 로그 파일이 생성되어 로그 파일의 관리적 측면에서도 좋지
우리가 브라우저를 통해 웹서핑을 할때 해당 문서와 그 문서를 꾸며주는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등의 데이터를 사용자의 디스크에 임시 저장하게 됩니다. 하지만 사이트를 닫게 되면 임시 저장된 이미지와 스크립트는 삭제되어 없어집니다. 물론 브라우저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보편적으로는 그렇다는 겁니다. 만일 사용자가 같은 사이트에 같은 문서를
아파치 웹서버 데몬은 gzip을 이용해 문서를 압축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압축되는 문서는 html,CSS,javascript등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문서로 문서 하나로 비교하면 압축되는 용량이 미미하지만 수십 수백만명이 사이트에 방문해서 동시다발적으로 서버에 요청하게 된다면 1Kb 용량의 차이라고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엄청난 트래픽의 차이를 불러오기 때문에 웹서버를 사용하고자
CentOS를 웹서버로 사용할때 mod_rpaf를 이용해서 웹서버 앞단의 미크로틱 프록시의 X-Forwarded-For 헤더를 넘겨받게 되고 실제 아이피 정보를 로깅할수 있었는데 우분투에서 똑같이 세팅하려고 하니 작동이 안되서 remoteip 모듈로 다시 세팅해봤습니다. 우분투에서 아파치 패키지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remoteip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만 활성화가 되어있지는 않습니다.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지
CentOS에서 아파치를 사용할때 리버스 프록시가 앞단에 있으면 실제 아이피 대신 내부 아이피가 찍히는데 mod_rpaf 모듈을 이용해 해결했습니다. 관련글 링크 이번엔 우분투에 설치된 아파치에 mod_rpaf를 설치해보려 합니다. 우선 패키지 이름을 확인하기 위해 검색했습니다. # apt-cache search rpaf # libapache2-mod-rpaf – module for Apache2 which takes
본인의 웹서버 앞단에는 미크로틱을 이용한 웹프록시(캐시)와 리버스 프록시를 사용하고 있는데 어제 댓글이 달리기 전까진 사실 아무런 확인도 하지 않다가 (로그를 볼일이 없으니…) 댓글이 달렸는데 프록시 서버의 아이피로 찍히는 것이였다. 왠만한 CMS 는 X-Forward-For 헤더로 찍히고 어쩌고 하는데 자세히는 몰라서 구글링을 통해 정보를 얻어서 설정했다.
아파치로 웹서버를 구성한 다음 홈페이지나 블로그등을 운영하다 보면 사이트 개편을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 페이지의 구조(카테고리)나 주소를 변경하게 되면 방문자의 대부분이 검색 엔진을 통해 접속하는 웹 특성상 이전에 크롤링 된 주소로 접속을 하기 때문에 방문자는 404 에러 페이지를 보게 됩니다. 주소를 변경하게 되는
우리가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홈페이지 접속시,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 문서, 이미지, CSS, JS등의 각종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렌더링해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수 있게 구현해 줍니다. 이때 웹서버 입장에서는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 만큼 리퀘스트(Request)가 이루어지며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시간 만큼 렌더링이 지연되어 페이지 로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