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추얼박스(VirtualBox)로 가상 컴퓨터를 생성한 다음 사용하다 보면 호스트 컴퓨터와 클립보드를 공유해야 하는 일이 생깁니다. 예를들어 가상 컴퓨터로 우분투를 학습용으로 사용하고…
우분투
웹서버를 구동하면서 워드프레스나 Xpress Engine등의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를 사용할때 사이트 설정 정보, 작성한 글, 댓글등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가…
이전 포스트에서 버추얼박스(VirtualBox)를 이용한 윈도우 가상화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엔 리눅스 배포판중 설치가 쉽고 사용자층이 많아 비교적 정보를 쉽게…
우분투를 부팅하고 로그인 할때나 SSH 접속시 시스템의 상태와 함께 /boot is using xx% of xxxMB의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문제는…
리눅스에 설치되어 있는 MySQL을 튜닝하려 보니 MySQL의 open_files_limit 옵션값이 534,538으로 되어있지만 open_files_limit을 증가하라는 시스템의 조언(?)을 분석해보니 리눅스(우분투)의 시스템에 제한이 걸려있네요. ulimit…
우분투에서 일반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패키지 저장소 항목을 갱신 한다음 새로 추가된…
이전 포스트인 윈도우10 Hyper-V 우분투 서버 설치하기편에서 윈도우10의 Hyper-V에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는 것을 해봤는데요. Hyper-V의 가상 컴퓨터 세대는 한번 생성하면 바꿀수…
리눅스 배포판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우분투(ubuntu)는 CentOS에 비해 Hyper-V에 대한 지원을 일찍 시작했고 12.04 이상의 버전에서는 별도의 통합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우리가 브라우저를 통해 웹서핑을 할때 해당 문서와 그 문서를 꾸며주는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등의 데이터를 사용자의 디스크에 임시 저장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파치 웹서버 데몬은 gzip을 이용해 문서를 압축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압축되는 문서는 html,CSS,javascript등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문서로 문서 하나로 비교하면…
우분투의 패키지 관리자에 NGINX 개발자 레포지토리를 추가해서 apt-get으로 최신 버전의 NGINX를 설치하고 추후 업데이트 및 관리가 간단하게끔 하는 방법입니다. NGINX…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다 보면 타임존 설정을 대충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시스템의 타임존을 다시 설정할수 있습니다. :~$ tzsel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