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시스템 시간 Localtime 설정 방법
우분투를 설치할 때 지정하는 위치(Location)에 의해 시스템의 시간 기준이 결정됩니다. 보통 Seoul을 선택해 국내 시간 기준인 KST로 설정을 하는데 VPS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다 보면 설치시 이러한 과정이 모두 생략되기 때문에 보통 UTC 기준으로 시간이 설정됩니다. 시간이 UTC 기준일 경우 로그를 분석하는데 불편함이 따르기
우분투를 설치할 때 지정하는 위치(Location)에 의해 시스템의 시간 기준이 결정됩니다. 보통 Seoul을 선택해 국내 시간 기준인 KST로 설정을 하는데 VPS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다 보면 설치시 이러한 과정이 모두 생략되기 때문에 보통 UTC 기준으로 시간이 설정됩니다. 시간이 UTC 기준일 경우 로그를 분석하는데 불편함이 따르기
우분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기본적으로 로케일(Locale) 설정을 하는데 서버 호스팅이나 VPS 같은 해외 가상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해 우분투를 설치한 경우 로케일 설정이 미국이나 일본등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로케일 지역이 한국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에러가 접속자 로그등이 해당 지역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로그 분석시 귀찮아지기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다 보면 타임존 설정을 대충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시스템의 타임존을 다시 설정할수 있습니다. :~$ tzselect 그 다음 출력되는 지역과 도시를 선택하면 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