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스크 사용량 확인 df 명령어 사용 방법

label리눅스

리눅스 시스템에서 디스크의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df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DF 명령어 예제

pg@SERVER:~$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udev              4062068        0   4062068   0% /dev
tmpfs              816408    82524    733884  11% /run
/dev/sda2      1047957476 11891972 982807676   2% /
tmpfs             4082024        0   4082024   0% /dev/shm
tmpfs                5120        0      5120   0% /run/lock
tmpfs             4082024        0   4082024   0% /sys/fs/cgroup
none               524288     1484    522804   1% /media/ramdisk
/dev/sda1          523248     3616    519632   1% /boot/efi
tmpfs              816408        0    816408   0% /run/user/1000

쉘에서 df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df 명령어의 결과값은 KB(킬로바이트) 단위로 출력되며 각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Filesystem : 리눅스에 마운트된 파티션 리스트
  • 1K-blocks : 파티션 전체 용량
  • Used : 사용량
  • Availaable : 남은 용량
  • Use% : 파티션 용량 대비 사용량에 대한 퍼센트
  • Mounted on : 마운트된 파티션의 경로
pg@SERVER:~$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udev            3.9G     0  3.9G   0% /dev
tmpfs           798M   81M  717M  11% /run
/dev/sda2      1000G   12G  938G   2% /
tmpfs           3.9G     0  3.9G   0% /dev/shm
tmpfs           5.0M     0  5.0M   0% /run/lock
tmpfs           3.9G     0  3.9G   0% /sys/fs/cgroup
none            512M  148K  512M   1% /media/ramdisk
/dev/sda1       511M  3.6M  508M   1% /boot/efi
tmpfs           798M     0  798M   0% /run/user/1000

KB 단위는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h 옵션을 주면 디스크 크기에 맞춰 MB, GB 단위로 결과값을 보여줘 디스크 사용량을 좀더 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g@SERVER:~$ df -hT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udev           devtmpfs  3.9G     0  3.9G   0% /dev
tmpfs          tmpfs     798M   81M  717M  11% /run
/dev/sda2      ext4     1000G   12G  938G   2% /
tmpfs          tmpfs     3.9G     0  3.9G   0% /dev/shm
tmpfs          tmpfs     5.0M     0  5.0M   0% /run/lock
tmpfs          tmpfs     3.9G     0  3.9G   0% /sys/fs/cgroup
none           tmpfs     512M  1.3M  511M   1% /media/ramdisk
/dev/sda1      vfat      511M  3.6M  508M   1% /boot/efi
tmpfs          tmpfs     798M     0  798M   0% /run/user/1000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옵션 조합인 df -hT는 파티션의 포맷 방식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DF 명령어 옵션

  • -k : kb(킬로바이트) 단위로 출력(기본값)
  • -h : 사람이 보기 편하게 MB, GB, TB등 디스크의 크기에 맞춰 용량을 표기함
  • -P : Filesystem 이름이 길 경우에도 한줄로 출력
  • -H : KB단위를 1024Byte가 아닌 1000Byte로 출력
  • -T : 파티션 포맷 방식 확인
  • -a : 0블록 파티션을 포함한 모든 파일시스템 출력
  • -i : inode를 기준으로 전체용량, 사용량, 남은용량을 출력
  • -l : 로컬 디스크에 한하여 출력
  • –help : df 명령어 사용법 출력

저자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ill out this field
Fill out this field
유효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같은 카테고리 글

Linux 크론탭 Crontab 사용법
Linux 크론탭(Crontab) 사용법
크론탭(Crontab)은 리눅스에서 정해진 시간에 스크립트나 데몬 등을 실행하는 스케줄러(Scheduler) 기능입니다. 특정 시간, 요일에 특정한 작업을 실행해야 하거나 반복 작업을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