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을 들고 카페에 가서 개방형 와이파이에 연결하면 ‘인터넷 없음’ 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노트북을 집에서는 잘 사용했고 ‘인터넷 없음’이 뜨는 와이파이에 스마트폰을 연결하면 스마트폰은 인터넷이 잘 되기 때문에 윈도우10의 문제라고 봐야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이 문제는 윈도우10의 무선랜(WLAN) 관련 서비스가 기본값으로 ‘수동’으로 되어 있는데, 공개 와이파이에 접속시 접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제대로 불러오지 못해 생기는 문제로 해당 서비스를 항상 시작되게 설정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개방형 와이파이 인터넷 없음 문제 해결하기

키보드 단축키 +R을 눌러 실행창을 띄운 다음 services.msc를 입력해 ‘서비스’를 실행합니다.

서비스 항목 중 WLAN autoConfig
항목을 찾아 더블클릭합니다.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변경한 다음 서비스를 ‘중지’ 버튼을 눌러 종료한 한 후 다시 ‘시작’ 버튼을 눌러 서비스를 다시 시작한 다음 ‘확인’ 버튼을 클릭해 창을 닫습니다.

그 아래의 WWAN AutoConfig
를 더블클릭합니다.

마찬가지로 WWAN AutoConfig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변경한 다음 서비스 상태의 ‘중지’ 버튼을 클릭해 서비스를 중지한 다음 ‘시작’ 버튼을 클릭해 서비스를 재시작 합니다.
WLAN 서비스와 WWAN 서비스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와이파이 접속시 내부 네트워크(LAN)와 NAT를 통해 외부(WAN)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경로에 관련하는 서비스로 이 두 서비스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와이파이에 연결해도 IP 또는 DNS 정보등을 와이파이 단말기에서 제대로 받지 못해 인터넷에 연결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위 두 서비스를 자동으로 다시 시작하게 설정하면 되는데, 만일 위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해서 문제를 해결해 볼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 네트워크 드라이버 재설치

키보드 단축키 +R을 눌러 실행창을 띄운 다음 devmgmt.msc
를 입력해 장치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장치 관리자의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에서 무선랜 어댑터를 찾으면 되는데, 노트북 마다 탑재된 와이파이 모듈이 다르므로 이름에 Wireless가 들어간 어댑터를 찾으면 되겠습니다.
필자의 노트북은 Intel(R) Wireless-AC 9560 와이파이 어댑터가 탑재되어 있네요.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디바이스 제거’를 선택합니다.

현재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삭제하면 다시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므로 ‘이 장치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삭제합니다.’ 에는 체크하지 않고 그냥 ‘제거’ 버튼을 클릭해 디바이스만 제거합니다.

마지막으로 작업 관리자 상단 메뉴의 동작 > 하드웨어 변경 사항 검색을 선택해 삭제한 와이파이 어댑터를 다시 설치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와이파이에 다시 접속해서 인터넷 없음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1 Comment
집에선 잘 되는데 나가기만 하면 인터넷이 안됐고든요ㅠㅠㅠ 진짜 감사합니다 너무 감사해요 복 많이많에 받으시구 여름 건강하게 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