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 마이크로서버 쿨러 개조하기

하드웨어

개조한지 일년이 넘었는데 블로그를 갓 시작한지라 이제서야 글을 쓴다. 8세대가 나온 이시점에서…-_-)a

마이크로서버에 들어가는 120mm 쿨러 핀 배열은 일반적인 쿨러의 핀 배열과 다르다. 그래서 개조가 필요한데…

개조의 목적은 보통 소음때문일 것이다. 1200rpm 아래의 유체베어링이면 적당할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쿨러텍이 싸고 소음도 적어 선호하는 편이다. (녹투아 너무 비쌈…)

IMGP3977
IMGP3970

우선 4핀의 색 배열을 기억해 놔야한다.(폰으로 사진을 찍어놓으면 편함)

준비한 쿨러의 케이블 색깔은 파랑(1) 노랑(2) 빨강(3) 검정(4)

핀을 몰렉스에서 빼기 위해서는 가늘고 뾰족한것이 필요한데 대바늘을 추천한다.

IMGP3973

위 사진과 같이 바늘을 몰렉스 뒤 홈에 넣고 꾸욱 눌러 아래로 밀면 빠진다.

IMGP3974

4개를 전부 뺀 사진.

이제 마이크로서버에서 인식 할수있는 배열로 바꿔준다.

IMGP3975

순서는 노랑(2) 빨강(3) 검정(4) 파랑(1) 이다.

한줄 요약 : 맨 첫번째 있는 선을 맨 뒤로 빼고 한칸씩 왼쪽으로 땡겨주면 된다.

IMGP3980

그리고 장착해주면 끝.

저자

댓글

8 댓글. Leave new

  • 저는 녹투아 쿨러 사서 따라 했는데 실패했습니다 흑흐규ㅠ

    응답
    • 헙 핀 배열이 다 같을텐데 이상하네요?!ㅠㅠ
      http://www.silentpcreview.com/article1193-page7.html
      혹시 모르니 참조해 보세요.
      그리고 녹투아 모델명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찾아보게요. 궁금해서^^

    • S12A PWM 입니다~
      핀배열도 맞췄는데 꽂으면 fan missing 이라고 뜨네요. 실제로 팬도 돌아가구요 ㅠㅠ

    • S12A PWM 을 찾아봤는데 팬에 붙은 케이블이 짧은 타입이고 연장선으로 붙여서 사용하는 것 같은데 혹시 연장선에 해당하는 선의 핀을 바꾸셨는지요? 제 생각엔 팬에 붙은 핀 배열을 바꾸고 연장선은 그냥 두면 성공 할것 같습니다.

    • 흑 ㅠㅠ 이미 난도질 해서 돌이킬 수가 없네요.
      그런데 후면팬보다는 오히려 파워쪽에 더 소음이 나는거 같아요. 파워도 교체를 했거든요..
      picoPSU 이런걸 설치해야 하나 봅니다 ^^;
      그나저나 마이크로서버 활용 되게 잘하고 계시네요.. 
      저도 레이드나 해볼까 해서 p410 알아보는데 ffwc이 fbwc니 뭐 많던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

  • 후면 120mm 팬 보단 확실히 파워 소리가 더 거슬립니다. 말씀하신것 처럼 아답터같은걸로 빼는게 제일 낫죠 ^^
    N40L 완전체를 만들어보려고 나름 별의 별짓 다해서 p410에 듀얼포트 랜카드 꼽아서 이래저래 쓰다가 현재는 파일서버 전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p410의 방식은 캐쉬 512M 부터 BBWC와 FBWC 두종류가 있는데 차이점은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QnA&wr_id=319212 글 한번 읽어보시면 됩니다.
    FBWC가 좀더 최신이니 이쪽으로 하시는게 나을듯합니다.^^(퍼포먼스에는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p410으로 하실거면 512+배터리를 추천드리는데 성능이 ASR-5805와 동급입니다. 발열은 더 낫구요. sas 6G 지원합니다. sata는 3.0G 구요. 여담이지만 5805 발열 엄청납니다…마이크로서버에는 쓸게 못됩니다. IBM M5015는 옵션롬이 안떠서 쓰실거면 감안 하셔야되는 부분이구요.

    응답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ill out this field
Fill out this field
유효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같은 카테고리 글

바이오스(bios) 강제 진입하는 방법
바이오스(BIOS) 강제 진입하는 방법
최근에 출시하는 UEFI 기반의 바이오스는 빠른 부팅을 지원해서 F2, Del 키를 연타로 눌렀을 때 바이오스에 진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Windows 환경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