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기본앱 삭제 및 재설치 하는 방법
윈도우10의 기본앱은 UWP으로 되어 있어 태블릿 같은 터치 환경에서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데요. 기본앱을 모두 합해도 용량이 작기 때문에 용량을 아끼려는 이유로 기본앱을 삭제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지만 ‘모든 앱’ 항목을 정리하고 싶거나 기본앱에 오류가 발생해 삭제 후 재설치를 해야 하는
윈도우10 활용 팁
윈도우10의 기본앱은 UWP으로 되어 있어 태블릿 같은 터치 환경에서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데요. 기본앱을 모두 합해도 용량이 작기 때문에 용량을 아끼려는 이유로 기본앱을 삭제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지만 ‘모든 앱’ 항목을 정리하고 싶거나 기본앱에 오류가 발생해 삭제 후 재설치를 해야 하는
노트북의 와이파이를 중계기로 사용해 보자. 노트북의 와이파이(WI-FI)를 이더넷 중계기로 이용해 SSID를 부여하고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노트북의 와이파이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도록 할수 있는데요. 이때 노트북에 장착된 와이파이 모듈은 중계기로 활용되기 때문에 유선 랜을 사용한 인터넷 혹은 테더링을 사용하는 인터넷 환경이여야 합니다. 윈도우 기반
엣지 브라우저에서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여러 창이 열려있을때 엣지 브라우저를 닫으면 나오는 메시지… ‘항상 모든 탭 닫기’ 를 체크하고 모두 닫기를 클릭하면 설정한 다음부터 엣지 브라우저를 닫을때 묻지 않고 열린 탭을 포함한 창을 닫아버리는데요. 이 ‘항상 모든 탭 닫기’ 옵션을 해제하려 옵션을 들어가보면 해당 옵션이 존재하지 않아 다시 원상복구 하려면
윈도우10의 기본 브라우저인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레거시 버전을 사용햐다가 갑자기 먹통이 되거나 최적화등을 이유로 잘못 만져서 프로그램이 꼬이는 경우가 있는데요. 여러 이유로 엣지 레거시 버전을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고 싶은데 윈도우의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에는 엣지 브라우저가 리스트에 없어 난감한 상황이 연출됩니다. 조금 번거로운 방법이긴
엣지 브라우저로 웹서핑을 하다 보면 웹표준과는 약간 동떨어진 사이트(ex. 테이블 형식의 사이트 구조)나 모바일 친화적인 사이트가 아닐때 생기는 메시지로 엣지 브라우저로 사용하는데 제약은 없지만 스크립트나 자사의 Active-X 환경일 경우 제대로 작동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익스플로러로 브라우징하는것을 권장하는 메시지로 Active-X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엣지 브라우저에서도
윈도우10부터 새롭게 탑재된 엣지 브라우저의 기본설정으로는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를 사용하지 않게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NPAPI 의존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플러그인이 업데이트 되지 않았을때의 취약점에 대응해서 랜섬웨어, 멀웨어등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함인데요. 플래시 플레이어가 보안상 헛점이 많긴 하지만 웹서핑을 하다보면 플래시로 된 컨텐츠를 이용해야 할때는 어쩔수
무선 인터넷이나 케이블을 통한 유선 랜을 통해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하다 보면 네트워크 이름 뒤에 숫자가 1, 2, 3 늘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이름이 네트워크 1, 네트워크 2 이렇게 지저분하게 표시되며 노트북 같이 여러 장소에서 인터넷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 이름 숫자가 계속 증가할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마이크로소프트가 디자인적인 측면에 많은 신경을 썼다는걸 아실텐데요. 잠금화면은 사용자의 취향껏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항목중 하나로 개인 설정의 잠금화면 탭에서 잠금화면의 이미지를 취향껏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PC와 타블릿에서 로그인할 때나 슬립모드에서 깨어날 때 볼 수 있는 로그인 화면의 이미지가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이나 게임을 설치할 때 ISO 파일을 가상 드라이브에 마운트해서 시디롬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요. 본래 ISO 파일은 시디를 굽는데 사용하는 디스크 이미지 파일이였지만 최근엔 시디롬을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ISO 파일 자체를 마운트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가상 드라이브 소프트웨어로는 데몬툴(daemon tools), 알콜(Alcohol
윈도우7에서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 하거나 윈도우 업데이트를 한 후 C 드라이브를 보면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파일들이 다운로드 되어 있고 문제가 있을때 시스템 복구를 할수 있게 windows.old 폴더로 백업되는데요. 업데이트 이후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거나 이전 빌드로 롤백하고 싶을 때 Windows.old 폴더에 있는 파일을 기준으로 이번 버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