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 title 03

우분투 NGINX APT 설치 후 재부팅시 자동 시작 해결 방법

apt update apt dist-upgrade apt install aptitude aptitude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add-apt-repository ppa:nginx/development apt install nginx-full 리버스 프록시 서버를 IWINV 로 서버를 옮겨볼까 해서 우분투 16.04 이미지 설치 후 위 명령어와 같이 업데이트 모두 마침, NGINX 레포지토리 등록 후 nginx-full 패키지를 설치한 다음 재부팅 했는데 NGINX 자동시작이

nginx title 03

NGINX WebDAV 설정 방법

WebDAV(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는 http를 이용해 웹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여러 사용자가 편집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토콜입니다. 실제로는 FTP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운영체제에서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도 WebDAV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놀로지등의 NAS에서도 많이 활용하는 기능중 하나입니다. NGINX 역시 WebDAV를 지원하며 다음과

windows nginx php setting title

윈도우 NGINX PHP 연동 및 서비스 등록 방법

이전 포스트에서 윈도우에 NGINX를 설치하고 서비스에 등록하는 방법까지 알아봤는데요. NGINX를 개발 환경 또는 웹서버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서 PHP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FastCGI 방식으로 연동해야 합니다. 리눅스에 NGINX와 PHP를 설치하는 방법과 같지만 윈도우 같은 경우 socket 방식으로는 연결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PHP-FPM에 프로토콜을 할당하는

nginx title

NGINX HTTP Basic Authentication 모듈 디렉토리 인증 암호 설정 방법

NGINX로 웹서비스를 구동할때 특정 디렉토리 하위 페이지를 HTTP 인증 레벨에서 로그인 설정을 한 다음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페이지나 워드프레스 같은 CMS의 로그인 환경을 이중으로 보호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NGINX HTTP Basic Authentication 설정 NGINX에서

nginx title

NGINX 디렉토리 리스팅 설정으로 파일 공유하기

NGINX는 아파치나 lighthttpd와 마찬가지로 가상 호스트 설정 항목인 server{ } 블럭에서 root로 설정한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리스팅(Listing)해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디렉토리 리스팅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디렉토리 리스팅 기능은 CentOS 리눅스 배포판 아카이브 페이지 같은 단순히 파일을 제공하는 용도일때 별도의 HTML 파일 없이

nginx conf title

NGINX WWW 도메인 주소 리디렉션 설정 방법

NGINX로 웹서버를 구성하고 외부에서 방문자들이 접속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을 연결해야 하는데요. 도메인을 구입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DNS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직접 DNS 서버를 구축한 다음 호스트 IP를 연결하고 nginx.conf 설정 파일의 server 블럭에서 가상호스트를 설정하면 방문자가 접속할 도메인 설정은 간단히 끝나게 됩니다. 여기서 간과하기 쉬운 하나는

nginx php multiversion title

NGINX PHP-FPM 업데이트 및 여러 버전 동시 연동 방법

튜토리얼 환경 : 우분투 16.04 LTS Xenial / NGINX 패키지 설치판 / PHP 패키지 설치 NGINX를 웹서버로 서비스 하는 경우 워드프레스, 텍스트큐브, Xpress Engine 같은 무료로 배포하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를 구동하기 위해서 PHP를 설치해야 합니다. 아파치 같은 경우, PHP를 사용하기 위한 모듈이 별도로

nginx gzip setting title

NGINX 이미지 외부링크 막기 설정 방법

웹서버를 NGINX로 세팅해서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커뮤니티 같은 경우 이용자가 이미지를 업로드해 다른곳에 링크를 걸어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블로그 같은 경우 작성한 포스트를 통째로 긁어다 불펌을 하는 경우에 이미지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img>태그로 인해 다른 곳에서 링크가 걸리게 됩니다. 이렇게 이미지나 파일등의

nginx conf title

NGINX 로그 포맷 및 레벨 설정 방법

이전 포스트에서 NGINX의 전반적인 로그(Log)세팅에 대한 설정과 로그로테이트(Logrotate)를 설정해서 지정한 기간동안 지정한 포맷에 맞춰 파일을 보관하는 설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엔 로그 내용에 담겨질 로그 포맷(Format, 형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그 포맷은 특별히 설정하지 않아도 분석하는데 불편함이 없지만 하루에 쌓이는 텍스트 양이 서버에 따라 다르겠지만

nginx conf title

NGINX 로그 기본 설정 및 logrotate 설정 방법

튜토리얼 환경 : 우분투 데스크탑 16.04 LTS Xenial / NGINX 패키지 설치 NIGNX를 웹서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설치하거나, 추가 모듈이 필요할 경우 필요한 모듈을 포함해 컴파일해 설치하게 됩니다.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설치한 경우 NGINX에 대한 엑세스 및 에러 같은 기본적인 로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