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는 기본적으로 모듈을 추가해야 할때 다시 컴파일을 해서 설치해야 합니다. 이전 포스트에서 우분투에 NGINX를 컴파일 설치하는 방법에서 기본적인 컴파일 환경…
웹서버
이전 포스트에서 우분투에 NGINX를 패키지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서비스 명령어나 방화벽, 로그 로테이트 설정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별도로 설정할…
얼마전 익스트림 매뉴얼 블로그에 SSL 보안인증서를 설치하면서 프로토콜이 http 에서 https 로 변경되었습니다. 서버 환경은 서버단에서 설치와 세팅을 마친 다음…
웹서버를 구축하고 운영하려면 일일히 HTML로 된 페이지를 제작할수 없기 때문에 갱신이 필요 없는 정적인 페이지가 아니라면 대부분 Xpress Engine(익스프레스 엔진,…
웹서버를 구동하면서 워드프레스나 Xpress Engine등의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를 사용할때 사이트 설정 정보, 작성한 글, 댓글등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가…
시놀로지에서 웹서버의 역할을 하는 웹스테이션(Web Station)은 아파치 기반으로 쉽게 NAS에서 웹서버를 운영할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웹스테이션은 기본적으로 시놀로지의 계정과 연동되어 사용자별…
웹서버에서 처리하는 파일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입니다. PHP나 JSP, CGI와 같이 입력값 변수로 인해 결과물이 달라지는 동적 파일과 이미지, 음원, 비디오,…
아파치로 웹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접속자 로그가 쌓이기 마련입니다. 이 로그는 기본적으로 무한정 늘어나기 때문에 로그 파일이 커지면 새로운 로그를 입력하기…
시놀로지의 데이터베이스 패키지인 MariaDB는 패키지를 실행하면 너무나 심플한 관리자 페이지가 뜨는데요. 시놀로지의 MariaDB 패키지를 한번도 사용해 본적이 없는 유저라면 관리자(root)…
시놀로지(Synology)에서 패키지 설치 없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웹 스테이션은 이름 그대로 웹서버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여담이지만 필자는 시놀로지의 DSM과 웹…
익스트림 매뉴얼의 도메인 주소를 기존의 blog.mystor.net 에서 extrememanual.com으로 변경하게 되었는데 한가지 문제는 네이버나 구글등의 검색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를 바꿔야…
시놀로지의 패키지 센터에는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 쉽게 패키지 형태로 있지만 설치하는 재미와(?) 관리적인 측면으로 봤을때 직접 설치하는 편이 좋기 때문에 이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