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폴더) 이름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 mv 명령어와 rename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는데요. mv 명령어는 단순하게 하나의 대상…
리눅스
리눅스에서 디렉토리(폴더)를 삭제할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여러 시나리오에서 폴더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튜토리얼 환경 : 우분투 18.04 리눅스 디렉토리 삭제…
리눅스를 이용해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버퍼/캐시가 쌓여 메모리를 점유하는 것을 top 또는 free -m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데요. 버퍼와 캐시…
우분투나 CentOS 계열을 설치할때 일반적으로 파티션 설정 부분에서 Swap 파티션 용량을 자동으로 지정해 리눅스를 설치하게 되는데요. Swap은 컴퓨터에 설치된 RAM의…
일반적으로 분할 압축은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리눅스 서버에 FTP로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가 느리다면 한번에 큰 용량의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거나 VPS를 사용하는 경우 파일 관리를 할때 리눅스 기본 압축 포맷인 tar.gz를 사용하게 되는데 데스크탑은 대부분 윈도우를 사용하기…
E: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 - 잠금 파일을 얻을 수 없습니다 - open (11: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E: Unable…
apt update apt dist-upgrade apt install aptitude aptitude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add-apt-repository ppa:nginx/development apt install nginx-full 리버스 프록시 서버를 IWINV 로 서버를 옮겨볼까 해서…
TAR 파일은 Tape Archive의 약자로 유닉스 계열에서 파일을 묶을때 사용합니다.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압축 형식이 ZIP 파일이라면 리눅스 대부분의 배포판에서…
리눅스 CPU 정보 확인 명령어 cat /proc/cpuinfo root@TUTORIAL:/home/pg# cat /proc/cpuinfo processor : 0 vendor_id : GenuineIntel cpu family : 6…
우분투를 서버로 사용하다가 오랜만에 업데이트를 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은 404 not found 오류와 함께 진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리눅스를 서버로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 CUI 환경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윈도우 같은 다양한 방식의 벤치마크는 어렵지만 sysbench로 CPU, RAM, Disk 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