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11 사용 중인 파일 및 폴더 강제로 삭제하는 5가지 방법

발행 :
by PG
Photo of author

윈도우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려고 할 때 파일이 사용 중입니다. 또는 폴더가 다른 프로그램에서 열려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삭제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문제는 백그라운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파일을 열어 점유하는 중이거나 열었던 파일을 닫지 않아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이 밖에도 파일 및 폴더의 소유자로 사용자 계정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시스템에 일시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와 같이 다양한 이유로 인해 “사용 중인 파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사용 중인 파일 오류가 발생할 때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작업 관리자에서 탐색기 프로세스 다시 시작하기

사용 중인 파일 오류 메시지의 내용을 보면 “파일이 다른 곳에서 열려 있으므로 이 작업을 완료 할 수 없습니다.” 라는 문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말 그대로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사용 중일 때 삭제가 되지 않는 것인데요.

하지만 프로그램을 모두 종료했음에도 삭제가 되지 않는다면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일을 점유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탐색기 프로세스 다시 시작으로 사용 중인 파일 삭제 - 윈도우10/11 사용 중인 파일 및 폴더 강제로 삭제하는 5가지 방법

이 경우 Ctrl+Shift+Esc 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프로세스 목록에서 Windows 탐색기를 찾아 클릭한 후, 상단에 있는 “작업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해 프로세스를 재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윈도우 UI 요소가 깜빡일 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 창을 닫은 다음, “사용 중인 파일” 오류가 발생하는 파일을 삭제합니다.

2.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 중인 파일 강제 삭제하기

명령 프롬프트에서 파일을 강제 삭제하는 옵션을 시용해 사용 중인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 중인 파일 강제 삭제하기 0 - 윈도우10/11 사용 중인 파일 및 폴더 강제로 삭제하는 5가지 방법

명령어를 사용해 폴더 경로를 이동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분들을 위해 최대한 쉬운 방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삭제가 되지 않는 파일이 위치한 폴더로 이동한 다음, 마우스 우클릭 > 터미널을 클릭해 실행합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 중인 파일 강제 삭제하기 1 - 윈도우10/11 사용 중인 파일 및 폴더 강제로 삭제하는 5가지 방법
cmd
dir /p

폴더의 경로가 그대로 적용되며 터미널이 열립니다. 하지만 터미널과 명령 프롬프트의 명령어가 서로 다르므로 cmd를 입력해 명령 프롬프트로 전환합니다. 그리고 dir /p 명령어를 입력해서 폴더 안에 저장된 파일들을 목록으로 확인합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 중인 파일 강제 삭제하기 2 - 윈도우10/11 사용 중인 파일 및 폴더 강제로 삭제하는 5가지 방법
del /f 1234.png

정확한 파일 이름을 확인했다면 위 명령어를 입력해 파일을 강제 삭제합니다. /f force의 약자로 명령어를 강제로 실행하는 옵션입니다.

cd ..
rmdir /s ".\폴더명"

만일 파일이 아닌, 폴더를 강제로 삭제하고 싶다면 cd .. 명령어로 상위 폴더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2번째 명령어로 폴더를 강제 삭제합니다.

3. 파일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권한 추가하기

명령어로 파일 및 폴더를 강제로 삭제할 수 없는 경우, 현재 윈도우에 로그인한 계정에 편집, 수정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파일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권한 추가하기 1 - 윈도우10/11 사용 중인 파일 및 폴더 강제로 삭제하는 5가지 방법

삭제 되지 않는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해 속성을 엽니다. 만일 폴더 하위에 있는 모든 파일이 삭제되지 않는다면 폴더 속성을 엽니다.

그리고 속성에서 “보안” 탭을 클릭한 다음 “특정 권한 및 고급 설정” 항목에 있는 고급 버튼을 클릭합니다.

파일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권한 추가하기 2 - 윈도우10/11 사용 중인 파일 및 폴더 강제로 삭제하는 5가지 방법

고급 보안 설정에서 사용 권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Everyone 사용자를 입력해 추가한 후, 모든 액세스 권한을 부여합니다. 만일 폴더라면 파일 및 하위 폴더에 권한 상속을 해야 합니다.

보안 주체에 Everyone이 추가되면 확인 버튼을 눌러 빠져나옵니다. 그리고 “사용 중인 파일” 오류가 발생하는 파일을 삭제합니다.

4. 안전 모드에서 삭제하기

시스템 전체에 권한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일반 부팅 상태로 파일을 삭제할 수 없으므로 안전 모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단, 시스템 구성(msconfig)을 이용해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안전 부팅을 해제하는 방식이 번거롭고 PIN 암호를 사용하는 경우 암호 관련 오류가 발생하는 리스크가 많아 이 방식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시작 설정으로 안전모드 진입하기 1

간단하게,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재부팅 하는 것 처럼 윈도우 시작 메뉴의 전원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시 시작”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Shift 키는 떼지 않고 유지합니다.

시작 설정으로 안전모드 진입하기 4

그러면 부팅 옵션이 나타나는데,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안전 모드 사용을 차례대로 선택해 안전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안전 모드로 부팅한 상태에서 삭제가 되지 않는 파일 및 폴더를 강제 삭제 후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면 다른 작업을 추가하지 않아도 일반 부팅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5. 파일 강제 삭제 프로그램 사용하기

위 4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해도 사용 중인 파일을 삭제할 수 없다면 파일 강제 삭제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Wise Force Deleter는 잠겨있는 파일을 풀고 삭제되지 않는 파일에 사용자 권한을 부여하는 동작과 함께 삭제를 진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포터블이 아닌 것이 아쉽긴 하지만 성능 하나는 확실하며 Unlocker보다 사용성이 더 좋았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