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아이폰에서 사파리와 크롬을 사용할 때 제3자 쿠키를 허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로그인 상태 유지, 장바구니 기능, 맞춤 광고 등 다양한 기능은 대부분 쿠키에 의해 동작합니다.
이 중에서 제3자 쿠키(Third-party Cookie)는 내가 방문한 웹사이트가 아닌 외부 서비스에서 정보를 저장할 때 사용되는데, 최근 브라우저에서는 개인정보보호 정책으로 인해 기본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폰에서도 이런 문제로 인해 웹페이지 일부 기능이 작동하지 않거나, 로그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브라우저에서 제3자 쿠키를 허용해 사이트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아이폰 사파리에서 제3자 쿠키 허용하기
아이폰 기본 브라우저인 Safari는 iOS 14 이후부터 3자 쿠키를 기본으로 차단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허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 앱을 실행한 다음 앱 > Safari를 선택합니다. 그 다음 Safari 설정에서 ‘크로스 사이트 추적 방지’ 옵션을 끔으로 설정합니다.
크로스 사이트 추적 방지는 타사 쿠키 및 데이터를 차단하는 설정으로 제3자 쿠키가 차단될 수 있으니 이 옵션을 꺼야 합니다.
화면을 아래로 내려 고급 설정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모든 쿠키 차단을 끔으로 설정해 모든 쿠키를 허용합니다.
아이폰 크롬에서는 제3자 쿠키 허용 가능할까?
아이폰에서 많이 사용하는 iOS용 크롬 브라우저는 사실상 Safari 엔진(WebKit) 기반으로 작동되며, 3자 쿠키 관련 설정을 직접 조절할 수 없습니다.
즉, 아이폰의 크롬에서는 사파리와 같은 쿠키 설정을 적용할 수 없으며, 제3자 쿠키를 허용하는 기능 자체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애플의 정책상, iOS에서 배포되는 모든 브라우저는 WebKit 엔진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서 크롬도 iOS에서 자체 엔진이 아닌 Safari 엔진을 기반으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데스크톱 크롬과는 달리 iOS 크롬에서는 쿠키 관련 세부 설정이 제한되는 것이죠. 겉으로 보기에는 PC, 안드로이드 크롬과 동일해 보이지만 앱 구조가 완전히 다릅니다.
아이폰 크롬은 flags 설정에서도 Samesite 관련 설정을 지원하지 않아 안드로이드 크롬과 다르게 제3자 쿠키 허용이 되지 않습니다.
마치며
아이폰에서 일부 웹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로그인이 풀리는 현상이 반복된다면 제3자 쿠키 차단 여부를 꼭 확인해보세요. 사파리에서는 설정을 통해 제어할 수 있지만, Chrome 앱에서는 애플의 제한으로 인해 사용자 설정이 불가능합니다.
요즘 애플이 사용자에게 크롬 대신 사파리를 권장하며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강조하고 있는데, 크롬에서 애플 웹킷을 기반으로 사용되는 이상 장기적으로는 기능의 제약으로 인해 사파리로 갈아타야 할 수도 있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