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logo

KT 기가와이파이 공유기 허브 모드 설정 방법

KT 기가 홈허브를 사용하면서 성능이나 편의성 때문에 아이피타임이나 아수스등의 다른 공유기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할때 내부 IP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기능인 DHCP 서버 기능이 두 공유기에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사설 내트워크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파일 공유나 포트포워딩이 약간 복잡헤집니다. 이러한

kt logo

KT 기가와이파이 공유기 내부 IP 고정하는 방법

KT 기가와이파이홈 공유기를 사용하면서 웹서버나 NAS등의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서 외부 접속을 위해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야 합니다. 이때 포트포워딩을 설정한 PC의 내부 IP가 변하게 되면 설정을 다시 해야 하기 때문에 포트포워딩과 동시에 DHCP 서버에서 맥어드레스(Mac Address)를 기반으로 해당 장치나 공유기가 재부팅시 내부 IP가

kt logo

KT 기가와이파이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

웹서버나 VPN, 메일 서버등을 공유기 환경에서 운영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의 방화벽 설정과 동시에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을 설정해서 서버에서 사용하는 포트를 개방해 외부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설정을 해야 합니다. KT 기가 와이파이 공유기 또한 기본적인 포트포워딩 기능을 제공하며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 : KT

kt home giga home hub

KT 기가와이파이 공유기 와이파이 비밀번호 및 채널 설정 방법

KT 기가 홈허브 와이파이 기본 접속 KT 기가홈허브 공유기를 설치한 다음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을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와이파이에 접속하게 됩니다. 처음 기가와이파이에 접속하는 경우 공유기 장비 뒷면을 보게 되면, 공장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SSID와 비밀번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장비의 와이파이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check port forwarding title

포트포워딩 설정 후 포트 개방 확인 방법

공유기나 라우터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일 경우 웹서버나 DNS서버등 웹으로 연결되는 서비스되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 포트포워딩을 통해서 해당 포트를 외부와 연결해야 하는데요. NAS 같은 상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같은 경우 세팅이 쉽고 설정에 실패가 없기 떄문에 포트포워딩 후 바로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리눅스나 윈도우에 서비스를

dhcp server title

DHCP 서버란 무엇인가?

우리가 집에서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KT나 SK브로드밴드, 유플러스등의 인터넷 서비스 업체(ISP)에 가입한 다음 인터넷 모뎀을 통해 PC등의 장치를 연결해서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할때 가끔씩 IP가 변경 되는 것을 경험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왜 유동IP를 사용해야 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고정 IP를 사용하려면

Kt 기가와이파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및 계정 설정 방법

KT 기가와이파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및 계정 설정 방법

KT 올레에서 기가 인터넷을 신청해서 사용하면 월 임대료를 내고 기가 와이파이 공유기를 임대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혹은 프로모션 기간에 기가 인터넷 또는 기가컴팩트를 신청해서 사용할 경우 무상으로 올레 기가 와이파이 홈허브 공유기(Olleh wifi home 모델)를 임대 받을 수 있는데요. 공유기를 받아 모뎀에 연결하면 바로

Iptime Logo High Res

아이피타임 공유기 아이피 변경 방법 (ipTIME)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때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아이피(IP)를 가지고 있습니다. ipTIME 공유기는 랜선에 연결되어 있는 PC나 스마트폰, 노트북등의 장치에 내부 아이피를 할당하고 외부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데이터를 내부 아이피에서 외부 아이피로 변환해서 교통정리를 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여러 장치가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을 하지만

Iptime Logo High Res

ipTIME(아이피타임) WOL 원격부팅 설정 방법

ipTIME 공유기는 WOL(Wake On Lan)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이피타임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PC의 맥어드레스를 공유기에 등록한 다음 관리자 페이지의 WOL을 통해 컴퓨터를 원격부팅 할수 있는데요. WOL은 컴퓨터의 랜카드에 매직패킷을 전송해 깨우는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만 되어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지 해당 PC를 부팅할수 있게

ddns system

DDNS 서비스와 DNS 서버의 차이점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ipTIME 공유기에는 아이피타임에서 제공하는 DDNS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DDNS는 Dynamic Domain Name Service의 약자로 DNS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유동IP에 대응한다는 점이 차이점입니다. 좀더 풀어서 설명하자면 DNS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시 상위 네임 서버와 쿼리를 통해 도메인에 연결되어 있는 서버의 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