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추얼박스 윈도우 부팅시 자동 실행 설정하기
버추얼박스 가상컴퓨터로 NAS나 리눅스 같은 웹서버를 운영하고 있다면 호스트 PC가 재부팅될 때 부팅을 마친 다음 버추얼박스의 가상 컴퓨터도 사용자가 실행을 해야하는데요. 베어메탈 가상화는 호스트가 부팅하는 동시에 가상 컴퓨터도 자동 실행이 되지만 버추얼박스는 운영체제 위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윈도우 재부팅시 관리자가 직접 실행을 해야 합니다.
버추얼박스, VMWARE등 가상화 관련 팁
버추얼박스 가상컴퓨터로 NAS나 리눅스 같은 웹서버를 운영하고 있다면 호스트 PC가 재부팅될 때 부팅을 마친 다음 버추얼박스의 가상 컴퓨터도 사용자가 실행을 해야하는데요. 베어메탈 가상화는 호스트가 부팅하는 동시에 가상 컴퓨터도 자동 실행이 되지만 버추얼박스는 운영체제 위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윈도우 재부팅시 관리자가 직접 실행을 해야 합니다.
애플 매킨토시 PC의 운영체제인 macOS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이지만 자사의 Mac, Macbook에서만 설치할 수 있고 맥에 장착되는 부품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해당 하드웨어만 드라이버를 지원하는 탓에 사실상 macOS를 사용하려면 맥을 구매해야 합니다. Mac은 일반적인 PC/노트북보다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이유도 있고 맥을 메인으로
버추얼박스에서 USB 메모리나 외장하드, 게임패드 같이 USB 장치를 추가하기 위해 메뉴에서 장치 > USB에 표시된 장치를 선택하면 VERR_PDM_NO_USB_PORTS, E_FAIL (0x80004005) 에러와 함께 장치가 추가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버추얼박스에서 실행하는 가상 컴퓨터에 드라이버와 확장팩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며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튜토리얼 환경 : 버추얼박스 5.1.22 가상 머신 – 의 세션을 열 수 없습니다. The virtual machine ‘-‘ has terminated unexpectedly during startup with exit code 1(0x1). More details may be available in ‘c:\xxxxxxxx\Logs\VBoxHardening.log’. 결과 코드 : E_FAIL (0x80004005) 구성 요소 : MachineWrap 인터페이스
버추얼박스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가상 컴퓨터를 세팅하기 위해서 가상 머신을 만든 다음 부팅을 하면 ‘FATAL : No bootable medium found! System halted’ 이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메시지는 부팅 가능한 디스크가 삽입되지 않아 생기는 문제로인데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앞서 간단한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자면 버추얼박스는
버추얼박스에서 USB 2.0 이상의 인터페이스 사용이나 호스트↔게스트간 클립보드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 원격제어(RDP), PXE 부팅등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서 버추얼박스 확장팩을 설치해서 세팅을 하는데요. 처음 버추얼박스 설치와 확장팩을 같이 설치했을때는 문제가 없는데 사용하다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할때 ‘확장 기능 패키지 x.x.xx-xxxxxx..vbox-extpack을(를) 설치할 수
버추얼박스를 사용하다 보면 버그 수정 및 새로운 OS 지원, 추가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버추얼박스 옵션에도 설정한 단위로 업데이트를 체크하고 새로운 버전이 있을 경우 업데이트를 하게끔 설정이 되어 있는데요. 버추얼박스 업데이트 이후 가상머신을 실행할때 ‘가상머신 —의 세션을 열
버추얼박스를 사용하면서 호스트PC에 있는 데이터를 가상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싶을때 네트워크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지만 보안상 네트워크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을 만든다면 버추얼박스의 공유폴더 기능을 이용해야 합니다. 공유폴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게스트 확장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해상도나 3D 가속을 위해 대부분 기본적으로
버추얼박스(VirtualBox)에 윈도우나 우분투등의 리눅스를 게스트 운영체제로 사용할때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게스트OS를 선택한 다음 사용하다가 호스트 운영체제(버추얼 박스가 설치된 메인PC)를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호스트키를 눌러 마우스 사용 권한을 호스트 운영체제로 변경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Ctrl+Alt+Del 키 조합 같이 윈도우 서버에서 많이 사용하는 키 같은
버추얼박스에 CentOS7을 설치한 다음 클립보드 공유나 드래그앤드롭, 네트워크 공유등의 기능을 활용하려면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VirtualBox Guest Additions)를 통해 가상 드라이버를 설치한 다음 활용이 가능한데요. CUI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 공유 정도를 활용할 수 있지만 데스크탑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위 기능을 모두 사용할수 있고 일반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