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Mac) 부트캠프 용량 부족 윈도우10 파티션 조정 방법
부트캠프를 이용해 macOS와 윈도우10을 설치해 사용하다 보면 예상보다 윈도우10의 용량이 모자라 파티션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부트캠프로 설치한 윈도우10의 용량 부족일 경우 macOS에 할당된 볼륨 크기를 줄인 다음 윈도우와 호환되는 파일 시스템인 ExFAT로 변환 후 윈도우에서 파티션 확장을 통해 윈도우10의 용량을 확보할
부트캠프를 이용해 macOS와 윈도우10을 설치해 사용하다 보면 예상보다 윈도우10의 용량이 모자라 파티션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부트캠프로 설치한 윈도우10의 용량 부족일 경우 macOS에 할당된 볼륨 크기를 줄인 다음 윈도우와 호환되는 파일 시스템인 ExFAT로 변환 후 윈도우에서 파티션 확장을 통해 윈도우10의 용량을 확보할
이전 포스트에서 파티션 나누기 설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파티션을 분할해서 사용하다가 추가로 하드디스크를 장착한 경우,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해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생기는 경우에는 다시 파티션 합치기 설정을 통해 C드라이브를 이전 상태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파티션 나누기에서 사용하는 파티션을 분할한 다음 나머지 공간을
윈도우7을 설치한 상태에서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의 용량이 클 경우 파일을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파티션을 나눠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파티션을 분할해서 사용하면 나중에 윈도우7을 사용하다가 포맷을 하게 될때 운영체제가 설치된 파티션 이외에 다른 드라이브에 파일이 있을 경우 포맷시에도 데이터를 보존할수 있기 때문에 하드디스크를
이전 윈도우도 그랬지만 윈도우10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복구 파티션이 생성됩니다. 윈도우10 기능중에 하나인 백업과 복구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공간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삼성, LG, 델, HP등의 대기업에서 판매하는 노트북이나 PC 같은 경우 제조사에서 제품을 구매할때와 같은 상태로 복구하는 리커버리 시스템을 내장되어 있는데 이 또한 윈도우
PC에 파일을 관리할때 하드디스크를 여러개 설치해서 용도별, 파일별로 구분해서 저장 보관한다던가 용량이 큰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누고 자료를 저장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공용으로 사용하는 PC인 경우 C드라이브가 아닌 디스크는 기본적으로 User 그룹에서 엑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라도 별도의 접근 권한(퍼미션)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사용하는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누거나 합쳤을때 탐색기에서 표시되는 드라이브명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요. 특히 하드디스크를 많이 사용하는 사용자는 SATA 포트의 순서에 따라 드라이브 이름을 지정해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 윈도우10에서 드라이브명을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드라이브 문자 순서 바꾸기 윈도우 시작 버튼을
앞서 포스팅한 윈도우10 파티션 나누기 하드 분할과 드라이브명 지정하기에서 설치한 하드의 파티션을 분할해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시스템이 설치된 하드/SSD라도 윈도우10의 기본 파티션 관리 기능으로 문제 없이 파티션 분할이 가능했는데요. 파티션 나누기와 반대되는 파티션 합치기 기능 또한 마찬가지로 윈도우10 시스템이 설치된 하드라도 문제
윈도우10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파일을 용도, 속성별로 폴더에 나눠 관리하는 방법도 있고 디스크를 드라이브 단위로 나워 폴더의 상위 개념으로 분류하는 방법 또한 있습니다. 윈도우 비스타 이전의 윈도우 버전에서는 시스템이 포함된 파티션을 나눌때 서드파티의 별도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파티션 드라이브를 나눠야 했지만 비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