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같은 경우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을 기본값인 1500에서 400으로 줄여 패킷을 더 잘게 쪼개서 정부에서 시행중인 SNI 검열을 우회 하는…
https 우회
최근 정부의 HTTPS 패킷의 SNI를 검열해서 도메인을 차단하는 정책으로 난리가 아닙니다. 이전 글들도 윈도우와 안드로이드를 기준으로 우회하는 방법을 공유했는데, 이번엔…
이전 글에서 파이어폭스의 ESNI로 우회를 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올렸는데, 이번엔 간단하고 안전한 HTTPS 우회 프로그램 GoodbyeDPI GUI 버전을 소개합니다.…
현재 정부가 검열하는 방식인 SNI 필드차단 방식은 HTTPS 프로토콜 통신 과정에서 SNI를 분석, 필터링해 사이트를 접속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
이전 포스트에서 파이어폭스로 SNI 차단을 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 PC 위주로 정리를 해서 안드로이드 쪽은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 Step…
얼마 전부터 DNS 주소를 감청해 불법 컨텐츠를 배포하는 사이트의 접속을 막는 검열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기술 이전엔 HTTP 통신을 분석해 차단할…
최근 정부에서 웹사이트의 주소 검열을 통해 불법 음란 사이트를 접속 불가능하게 하는 조치에 한발 더 앞서 https 프로토콜을 차단하는 DNS…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입력하는 도메인은 실제로 IP로 통신하며 도메인과 IP를 변환해주는 서버가 바로 DNS(Domain Name System) 인데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는 HTTPS…
크롬 브라우저 같은 경우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VPN에 연결해서 IP우회가 가능합니다. browsec, zenmate 등의 확장 프로그램이 대표적인데요. 만일 인터넷 검열이 심한…
해외 차단 사이트 접근이나 해외 직구 사이트 접속등 IP 우회, warning.or.kr 우회를 위해 일반적으로 크롬 VPN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을텐데요.…
크롬에서 해외접속차단 사이트를 접속할때 IP 우회 VPN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요. 여러 무료 VPN 확장 프로그램중 하나인 Browsec를 소개합니다. 오페라 개발자 버전의…
오페라(Opera) 브라우저는 개발자 버전에서 VPN 기능을 포함해서 크롬 같이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하는 VPN 서비스를 오페라 자체에서 서비스 하게 되었습니다. VPN은 Virt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