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해당 국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간단 해결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다 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볼수 있습니다. 저작권상의 이유로 해당 국가에서 차단한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동영상을 올린 사용자가 동영상을 해당 국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유튜브에 올려진 영상이 저작권에 관련되어 있거나 국내 연령 제한 심의와 다른 기준으로 업로드 된 영상에서 위와
인터넷 활용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다 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볼수 있습니다. 저작권상의 이유로 해당 국가에서 차단한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동영상을 올린 사용자가 동영상을 해당 국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유튜브에 올려진 영상이 저작권에 관련되어 있거나 국내 연령 제한 심의와 다른 기준으로 업로드 된 영상에서 위와
워드프레스의 테마나 컨텐츠 레이아웃, 상단에 삽입된 로고등의 디자인 요소는 그 사이트나 블로그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요소들입니다. 특히 테마와 컨텐츠 레이아웃은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유저라면 제일 신경쓰는 부분이기도 한데요. 1인 미디어, 블로그등의 사이트는 혼자 사용하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로그인 페이지입니다. 사실 혼자 사용하는데 로그인
이전 포스트인 워드프레스 리비전 플러그인 – Revision Control에서 플러그인을 통해 리비전의 갯수를 조정해서 데이터베이스가 낭비되지 않고 최소한의 리비전을 저장하는 설정을 해봤는데요. 이번엔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리비전의 갯수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p-config.php 수정 define( ‘WP_POST_REVISIONS’, 2); wp-config.php 파일을 연 다음 위의 코드를 삽입하면
워드프레스는 글(Post)이나 페이지를 작성할때 중간중간 자동으로 저장되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 기능과 동시에 해당 문서를 편집하고 저장할때 시간별로 문서를 따로 저장하여 리비전(revision) 형태로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요. 만일 편집하기 이전 문서로 되돌린다던가 여러 사람이 협업으로 작성할때 이점을 갖지만 하나의 문서를 편집할때 마다 저장하게 되면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임시 이메일을 사용해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싶은 경우 임시 이메일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이메일은 주로 회원가입이나 인증에 필요한 중요한 사이트가 아닌 경우에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비리비리한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고 싶은 사이트에 접속할 때 해킹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임시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빙(Bing), 네이버등의 검색 엔진에서는 사이트 등록과는 별개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블로그나 사이트를 등록할수 있게 웹마스터 도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웹마스터 도구는 사이트맵과 RSS를 해당 검색 엔진에 등록해서 검색 엔진의 크롤링 봇(bot)이 주기적으로 크롤링 될수 있게 하고 RSS 핑으로 신디케이션을 사용해 글을 발행시 검색
설치형 블로그인 워드프레스에서 블로그의 속도를 좌우하는 것은 PHP 반응속도와 아파치/NGINX 대기시간, 문서와 이미지 캐싱등 여러 요소가 있습니다. 사용자 자신이 서버를 직접 구축하고 사용한다면 아파치, PHP, MYSQL(MariaDB)등의 데몬을 튜닝해서 속도를 끌어 올릴수도 있지만 웹호스팅등 서버단에 접근할 권한이 없다면 이러한 기술은 아무런 의미가 없겠죠. 그렇다면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는 전세계에서 사랑받는 블로그 도구로 CMS의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데요. 사용자가 많은 만큼 보안의 헛점과 관리 소흘을 노리는 스팸 댓글이 꽤나 많이 달리는 편입니다. 이런 글을 필터링 하려면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댓글 검토와 블랙리스트를 통해 댓글을 제한할수도 있지만 이러한 필터링으로 인해 선의의 피해자가
HTML 마크업(Markup)중 오픈그래프(Open Graph)는 블로그나 사이트가 SNS에서 링크등으로 활용될 때 우선적으로 활용되는 정보입니다. <title></title>이나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사이트 설명”>같은 사이트의 정보를 SNS 친화적으로 나타내주는 메타태그 인데요. 특히 네이버 같은 경우 웹마스터 도구에서 사이트의 최적화를 체크할때 나타내는 항목중 하나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오픈그래프 메타태그를 지원하지 않아 위처럼
앞서 설정한 RSS 피드 발행 수를 적당하게 수정해서 검색엔진에서 새로운 포스트가 업데이트 되거나 기존의 글이 갱신되었을때 RSS 신디케이션을 통해 검색엔진에 알려주는 것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RSS가 새로 발행한 글이나 발행한 글을 수정할때 검색엔진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면 앞서 언급한 사이트맵(sitemap)은 블로그나 사이트의 구조와 문서의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