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1 Hyper-V 비활성화 하는 방법
윈도우11에서 버추얼박스 또는 VMware를 이용해 가상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블루스택 같은 안드로이드 계열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려면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Hyper-V를 비활성화해야 하는데요. CPU에서 지원하는 가상화 명령어 관련 리소스는 운영체제에서 하나의 하이퍼바이저만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어서 서드파티의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려고
윈도우11에서 버추얼박스 또는 VMware를 이용해 가상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블루스택 같은 안드로이드 계열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려면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Hyper-V를 비활성화해야 하는데요. CPU에서 지원하는 가상화 명령어 관련 리소스는 운영체제에서 하나의 하이퍼바이저만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어서 서드파티의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려고
윈도우11에서 WSL를 이용한 리눅스 실행이나 안드로이드 시스템등 리눅스 기반의 플랫폼을 온전히 사용하기 위해서 Hyper-V 가상화를 활성화해야 하는 사전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상 컴퓨터를 이용한 개발환경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 윈도우11 홈 에디션은 가정용에 포커스가 맞춰져있어서 원격 접속이나 가상화, 그룹 정책등 일부
윈도우10 프로 및 윈도우 서버에 포함되어 있는 가상 컴퓨터 기능인 Hyper-V에서 USB 디스크를 연결하려면 리소스 공유 기능을 이용해야 합니다. 버추얼박스나 VMWARE 같은 가상 컴퓨터와 같은 경우 하드웨어 리소스를 통째로 불러와 사용하는 반면 Hyper-V는 호스트에 연결된 USB 디스크를 공유하는 개념으로 연결하며 고급 세션에서 불러와
윈도우의 가상화 솔루션인 Hyper-V에서 그래픽카드 가속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RemoteFX 3D를 장치로 연결해야 하는데요. 윈도우10 빌드 1809 이후 버전은 RemoteFX를 사용할 수 없게 제한해 놨으며 VM 설정 화면에서는 ‘RemoteFX 3D 비디오 어댑터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기존 VM에서 해당 어댑터를 계속 사용할 수는 있지만,
지난 19일 공개된 윈도우10 Insider Preview Build 18305에서 VM(가상화)을 이용한 샌드박스 기능이 공개되었다. ‘샌드박스’는 격리된 공간을 일컫는 말로 바이러스나 랜섬웨어등이 의심되는 실행 파일을 구동해 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며 문제가 생기더라도 실제 윈도우 영역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샌드박스를 끈 다음 다시 실행하면
Hyper-V에 우분투 데스크탑을 설치해서 호스트에서 바로 사용하는 경우 기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낮아 데스크탑 용도로 사용하기 불편한데요. Hyper-V에 우분투 14.04 버전 이상 설치하는 경우 통합 서비스(integration services)가 기본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그래픽 가속 같은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어찌된 일인지 해상도는 1152×864로 고정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앞서 살펴보았던 Hyper-V 디스크 구성에서 차이점 보관용 가상 디스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부모 가상 디스크(원본)에 자식 가상 디스크(변경점)를 연결해서 원본 가상 디스크의 손상 없이 데이터를 기록할수 있는 방법으로 하나의 원본 운영체제(부모)에 여러개의 자식 가상 디스크를 연결해서 유지 관리를 편하게 운영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차이점 보관용
이전에 우분투 서버를 Hyper-V 가상 컴퓨터 2세대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엔 Hyper-V 가상 컴퓨터 2세대로 CentO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yper-V의 가상 컴퓨터 2세대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CentOS 7 이상의 버전을 필요로 합니다. 우선 CentOS 공식 사이트에서 CentOS 7 ISO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음카카오
이전 포스트인 윈도우10 Hyper-V 우분투 서버 설치하기편에서 윈도우10의 Hyper-V에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는 것을 해봤는데요. Hyper-V의 가상 컴퓨터 세대는 한번 생성하면 바꿀수 없고 2세대에서 지원하는 매력적인 기능들을 사용할수 없기 때문에 이번엔 우부투 서버를 Hyper-V 가상 컴퓨터 2세대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yper-V의 가상 컴퓨터 2세대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배포판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우분투(ubuntu)는 CentOS에 비해 Hyper-V에 대한 지원을 일찍 시작했고 12.04 이상의 버전에서는 별도의 통합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번거로움 없이 쉽게 Hyper-V에 게스트 OS로 설치할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우분투도 여타 리눅스 배포판처럼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을 구분해 배포하고 있는데요. 그중 가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