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11 떨어져 있는 파티션 합치는 방법윈도우10, 윈도우11에서 C드라이브에 있는파티션의 여유 공간을 합치려고 할 때 여유 파티션인 ‘할당되지 않은 파티션’이 맨 뒤에 있거나 중간에 복구 파티션이…
외장하드에 설치한 윈도우10 파티션 나누는 방법이전 글에서 외장하드에 윈도우10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RUFUS를 이용한 외장하드에 윈도우10을 설치하면 파티션이 통채로 C드라이브로 설정되기 때문에 드라이브를 나눠…
디스크가 MBR, GPT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는 두가지 파티션 방식인 MBR 또는 GPT를 사용하게 됩니다. 하드디스크와 SSD 모두 같은 파티션 방식을 사용하며 부팅시…
외장하드 인식은 되는데 내 컴퓨터에서 안보일 때 해결 방법USB 메모리 또는 외장하드를 연결했을때 인식은 되는데 내 컴퓨터에서 드라이브가 보이지 않을때가 있는데요. USB 디스크를 연결하면 작업표시줄의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
윈도우10 드라이브 숨기는 방법집에서 가족과 공용으로 PC를 사용하거나 중요한 데이터를 다른 파티션에 백업해 놨는데 윈도우 탐색기에서 드라이브를 숨기고 싶은 경우 프로그램 없이도 윈도우에서…
윈도우10 EFI 시스템 파티션 삭제 방법SSD를 업그레이드 한 경우 외장 하드나 보조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파티션 정리를 하다 보면 EFI 시스템 파티션이 200M 정도를 점유하고…
macOS 부트캠프 윈도우10 삭제 방법부트캠프에 윈도우10을 설치해서 사용하다가 더이상 윈도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SSD의 용량을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서 부트캠프에 설치된 윈도우를 정리해 용량을…
윈도우10 diskpart clean 으로 삭제한 파티션 복구 방법윈도우10을 3테라가 넘는 하드디스크에 설치하려면 MBR 파티션 때문에 GPT로 변환해 설치해야 하는데요. 이때 diskpart 유틸리티를 통해 파티션을 다시 설정하게 되는…
윈도우10 활성 파티션 비활성화 방법윈도우10을 사용하다가 하드디스크에서 SSD로 업그레이드를 한 경우, 하드디스크를 저장용으로 추가 설치했는데 활성 파티션으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디스크 관리에서…